티스토리 뷰
http://www.psychiatricnews.net/news/articleView.html?idxno=17426
1. 시선 교환 - 여러 연구로 증면된 바로 사랑에 빠진 사람들은 서로의 눈을 응시하면 많은 시간을 보낸다. 상대가 좀처럼 눈을 마주치지 않거나, 그들의 눈을 볼 때 응대하지 않는다면 이는 무관심의 표시다.
2. 신체 접촉 - 손을 잡고, 어깨나 허리에 팔을 감고, 다리에 손을 얹는 등의 접촉은 비언어적 단서다. 신체접촉은 둘만의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. 바디랭귀지의 빈도가 적다면 그만큼 끈끈한 유대감을 원하지 않는다는 뜻이다.
3. 가짜 미소 - 심리학자 폴 에크만(Paul Ekman)은 진정한 미소는 눈이 웃어야 한다고 말한다. 소위 두케네(Duchenne)를 미소는 꾸밈 없는 행복을 들내는 표정이다. 눈가에 주름이 생기면서 눈이 가늘게 떠진다. 반면 가짜 미소에서는 눈의 표정이 없다. 상대가 웃을 때 눈보다 입이 먼저 반응하는지 살펴보자.
4. 조바심의 표현 - 그 특정한 사람과 대화를 나눌 때 머리 흔들기, 동요하는 움직임, 그리고 빠른 말의 속도로 반응하는 것은 몯 한 사람이 당신에게 시간이 없다는 것을 암시한다.
5. 바디 랭귀지 - 사람들은 개인적 관심을 보일 때 몸을 상대에게 향하게 기울이고, 도 나아가 상대의 몸짓과 행동을 따라한다. 만약 당신의 팥파트너가 당신 곁에 서서 고개만 돌려 이야기를 건넨다면, 상대가 당신에게 주의를 기울이고 있지 않다는 신호다.
6. 목소리 - 음정은 미묘하지만 비언적 표현을 담아낸다. 날카롭거나 조급한 말투는 무관심을 암시한다. 상대방이 당신에게 빠져 있다면, 그들의 말투는 부드럽고 주의 깊어애 한다.
7. 비스듬하게 보기 - 눈을 마주치려고 ㅗ력하지만 상대는 시선을 피한다면 무관심이나 관여하고 싶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. 예를 들면 친밀한 대화나 중요한 화제를 언급할 때 상대가 스마트폰을 꺼내거나 멀리 시선을 던지는 것이다.
8. 표정의 비대치성 - 불쾌감을 나타내는 미묘함을 입을 한쪽으로 당기거나, 눈을 굴리거나, 어리둥절한 표정을 짓는 등 우리의 얼굴 표정이 비대칭적이 될 때 나타난다. 대게 진정으로 누군가를 좋을 때, 사람의 얼굴은 대칭적이고 등정적이다.
'그냥용어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연돌현상/굴뚝효과] 고층빌딩의 Stack/Chimney Effect (0) | 2018.01.15 |
---|---|
[앵커링 효과] Anchoring effect (0) | 2017.11.29 |
[배트나] BATNA-Best Alternative To Negotiated Agreement (0) | 2017.11.28 |
[사스퍼거] Aspergers syndroms & Social Asperger (0) | 2017.10.30 |
Shop Drawing / Working Map (0) | 2017.08.22 |